산행일자 : 2011. 12. 25(나홀로)

산행코스 : 율림회관-국수봉-은을암-치술령-불광사-율림회관  

산행시간 : 5시간 40분(09시 30분 출발-15시 10분 도착)

 

전국을 강타한 영하의 날씨!

율림회관을 나설 때 양뺨을 강타하던 칼바람에 몇 번이나 산객은 발걸음을 멈추었다. 일단 산길에 접어들면 바람이 잠잠하리라 생각하고...

그러나 국수봉 정상을 오를 때 까지 칼바람은 지칠 줄 모르고 왼뺨을 강타하였다. 국수봉을 지나 은을암으로 가는 길은 거짓말 처럼 바람 한 점 없었다.

잠깐 은을암에 머물며 암자의 유래를 되새겨보고 치술령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서낭재를 지나 426 봉우리에서 숨을 고른뒤, 610봉우리까지의 급 오르막은 산객을 가장 많이 힘들게 하였다. 610봉우리에서 치술령으로 오르는 길은 철쭉 군락지 였다. 봄날 이 길을 걸을때는 탄성이 나오리라. 치술령에서 법왕사까지 하산 길은 찬바람 없는 비교적 쾌적한 길이었다. 법왕사에 들려 몇 장의 사진을 찍었지만, 추운날씨 탓인지 카메라 배터리의 방전으로 아쉽게 박재상 유적지를 카메라에 담을 수가 없었다. 

차는 율림회관에 있는데... 찬바람은 불고... 박재상 유적지에서 율림회관까지는 가까운 길은 아니었다. 

 

경주 쪽 망부석

                부산일보 탐색 길

 

망부석 그리고 은을암(隱乙岩)

신라 18대 실성왕 원년(402)과 11년(411)에 왕은 내물왕의 아들인 미사흔(미해)과 그의 형 복호(보해)를 각각 일본과 고구려에 볼모로 보냈다.

실성왕이 내물왕에 의해 고구려에 볼모로 간 것에 대한 앙갚음을 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실성은 내물왕의 아들 19대 눌지왕에 의해 죽게 되었고, 눌지왕은 자신의 두 동생을 찾아올 변사(말 잘하는 사람)을 구했는데 신하들이 삽량주(양산)의 간(干) 박제상이 어질고 지혜가 있다하여 그를 고구려에 보내 동생을 구해오도록 하였다. 박제상이 고구려에 복호를 구해오자 다시 일본에 있는 미사흔을 구해오도록 하였다. 박제상은 이에 죽음을 맹세하고 처자도 보지 않고 율포(지금의 강동)로 가서 배를 띄워 왜국으로 향하였다. 그의 아내가 이 소식을 듣고 포구로 달려가서 배를 바라다보고 대성통곡 하며 '잘 다녀오시오'하였다. 박제상이 돌아다보며 '내가 왕명을 받아 적국으로 들어가니 그대는 나를 다시 볼 기약을 생각하지 말라'하고 바로 왜국으로 들어가서 마치 신라를 배반해 온 사람과 같이하여 의심을 사지 않고 결국 미사흔을 구출하게 되었다.  그러나 박제상은 탈출을 돕기 위해 왜국에 남아 있다가 잡혔는데, 이때 왜왕이 박제상을 회유하려고 하였으나 박제상은 '차라리 계림(신라의 옛 이름)의 개나 돼지가 될지언정 왜국의 신하가 되지는 않겠다.'라고 하여 결국 왜왕에 노여움에 의해 죽음을 당하였다. 속세에 이르기를 제상의 발 가죽을 벗기고 갈대를 벤 뒤 그 위를 걸아가게 하였는데, 지금 갈대 위에 피의 흔적이 있는 것을 세상에서는 '제상의 피'라고 한다....  1934년 본 [울산읍지]에 따르면 망부석은 치술령 산꼭대기에 있으며, 박제상이 왜국에서 순국하였다는 소식을 전해들은 부인 김씨가 슬픔과 원한을 이기지 못하다가, 딸 셋을 데리고 치술령에 올라가서 왜국을 바라보고 통곡하며, 낭군의 뒤를 따라 정절로써 죽으려 하자 딸 셋도 따라 죽으려고 하기에 둘째딸 아영에게 이르기를 '너는 살아남아서 너의 동생 문랑(당시 6세)를 양육하여 아버지의 후대를 잇게 하여라' 하였으며, 큰 딸 아기와 막내 딸 아경은 부인 김 씨를 따라 정절사 하였다.

죽은 모녀 세 사람의 시신은 곧 돌이 되어 망부석이 되었다고 하며, 넋은 새가 되어 망부석 남쪽 십여 리에 있는 바위틈으로 날아가 숨었는데, 그 바위를 은을암이라고 하였다. (출처 : Daum 지식)   - 유익한 산행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산행 들머리

 

 

나무는 봄을 기약하리...

 

국수봉 능선 이정표

옥녀봉 방향(오른쪽)으로 10여 미터 가면 국수봉 정상. 은을암은 여기서 치술령(왼쪽) 방향으로 100여 미터 더 가야 함

 

 

셀프로 한 컷!

국수봉에서 바라본 옥녀봉

 

 

 

 

은을암 방향의 이정표

 

은을암가는 급 하강 길

 

 

은을암(隱乙岩)  

 

 

 

극락전

 

 

 

 

 

 

425봉 삼거리

 

426봉우리에서 610봉우리로 이어지는 가장 힘들었던 급경사

 

 철쭉 군락지

 

갈비봉

 

 

 

신모사지

 

 

 

망부석(경주 쪽)-정상석 바로 아래에 있음

 

아래서 바라본 경주 쪽  망부석

 

울산 쪽 망부석-정상에서 법왕사 방향으로 30~40미터 아래에 위치 함 

 

울산 쪽 망부석 전망대

 

지친 산객들의 심터가 되어 주는 소나무- 울산 측 망부석 바로 옆에 위치 하고 있음

 

법왕사

 

법왕사 삼십 삼 관음 성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