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지역에 집중해서

내리는 여름 장맛비,

장맛비가 가끔은 두렵다.

 

비가 며칠 뜸한 틈을 타서

양산 지프내 계곡으로 향한다.

 

1. 언 제 : 2023. 7. 21(금)

2. 걸은 길 : 용주사 앞 고속도로 굴다리 아래 공터-지프내골-원적산 봉수대-봉화산-고속도로 아래 공터(10k,                       8h 39m)

3. 의상봉님과 함께

고속도로 굴다리를 지나 계곡으로 내려서서 용주사로 향한다.

 

 

사찰 아래에 도달하니 더 이상 계곡으로의 진행이 불가능하여

좌측 산책길을 따르다 체육공원에서 계곡으로 진입한다.

 

 

예상했던 것과는 달리 골치기에 적당힌 수량이다.

 

계곡은 위대한 지휘자이다.

 

, 바위, 야생화, 산새, 나무, 바람 등은 그들의 구성원이다.

그들의 연주는 조화로우며,

아름다운 하모니가 되어 산객에게 감명을 준다.

 

부지런한 산수님은 오늘 친구들과 서울여행중이다.

아마도 마음은 지금 여기 계곡에 와 있으리라.

 

뒤따르는 자는 항상 리더의 발자국에 주의 하며 따른다.

그래서 리더 보다 편하게 갈 수 있다.

 

 

계곡을 가로지는 임도를 지나니 계곡은 조금 불친절해진다.

 

 

두 계곡의 합수점 바로 아래의 최대 난코스 협곡이다.

푸른 이끼는 미끄러움을, 푸석한 돌은 낙석을 의미하기에...

 

“안되겠다.”

조금 깊은 수심과 좌측 푸른 이끼의 돌에는 손잡을 곳과 발 디딜 틈새가 없다.

좀처럼 물러서지 않는 의상봄님도 이번에는 우회하자고 하신다.

 

 

되돌아 나와 협곡 오른쪽으로 우회하여 오르니

가야 할 오른쪽 계곡에 멋진 긴 폭포가 기다리고 있다.

 

이후에도 계곡에는 작은 폭포가 임도 직전까지 이어진다.

 

 

이곳 이정목에서 원적산 봉수대로 내려서는 옛 길이 분명 있을 텐데...

최근 양산시에서 고로쇠 작목 사업으로 임도를 만드는 관계로 옛 길이 사라졌나 보다.

 

 

원적산 봉수대

 

 

봉화산으로 이어지는 길은 선명하고도 부드러웠다.

그러나 고속도로 언덕 위 배수로 지점에 이르니 길이 끊어졌다.

아래 계곡까지는 100여 미터의 거리인데 잡목과 급경사가 발목을 잡는다.

 

 

어쩔 수 없이 반대편에 있는 오경농장을 지나

긴 거리를 돌아서 원점 회귀하며 산행을 마무리 한다.

 

 

'나의 산행기(202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성산 사원재골(골치기)  (2) 2023.08.03
천성산 내원사 절골(계곡치기)  (0) 2023.07.28
천성산 소매골 골치기  (1) 2023.06.15
양산 홍룡사계곡 골치기  (2) 2023.06.10
신불산 금강폭포, 근폭포  (2) 2023.06.02

+ Recent posts